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의료기기 스타트업과 공공기관의 지원사업(Medical Device Startups and Projects)

     주요 정부 부처와 산하 기관에서 내는 공고 외에도 의료기기 스타트업들을 위한 지원사업 들이 많이 있습니다. 다만 그 공고를 내는 곳이 어디인지 몰라서, 언제 나오는지 몰라서 기회를 놓치는 경우를 주변에서 종종 봅니다.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에 있는 의료기기 관련 주요 공공기관의 지원 사업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소개해 볼까 합니다.   기관들은 기업들을 지원하고 있는 '주요 지원사업 정보' 를 요약해서 사업 소개 페이지를 게시 합니다. 그 정보는 공급자(공공기관) 중심의 정보이기 때문에 기업들은 막상 그 정보를 통해 무엇을 지원 받을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알기는 어렵습니다. 때문에 '우리 회사가 무엇을 지원받을 수 있는지' 에 대해서는 사업공고의 공고문 을 보면 됩니다. 하지만 그 공급자 중심의 정보에서도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정보 가 있습니다. 그 지원사업이 "얼마동안 지속될 지에 대한 단서" 와 "지원사업 재원의 특성" 입니다. [사업 개요 파악]   공고문만 확인해도 되지만 지원 사업의 의미와 큰 그림을 파악하려면 사업 개요를 통해 몇 가지 정보를 확인 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순히 정보 파악의 의미 외에도 사업 수주의 성공을 높일 수 있는 중요 활동 입니다.   '지원 기간' 을 통해 지원사업이 단편적인지 연례 반복적인지를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연례 반복적이라면, 지금은 놓쳤더라도 공고 시기를 알 수 있으니 준비할 수가 있습니다. '지원사업 재원의 특성' 을 알면 우리 회사가 지원 가능한 사업인지 아닌지도 예측 가능합니다. 또한  '지원 사업명'이나 '사업 개요'를 보면 '재원을 투입하는 주체' 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체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공공기관들의 지원사업 재원 형태는 다음과 같은 경우가 있습니다.  - 국비 단독 : 기업 소재지와 상관없이 지원합니다.  - 국비, 지방비 :...

의료기기 회사에 대한 자세한 정보 얻기 (How to find medical device company in Korea)



국내 의료기기 회사들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증권사 애널리스트들의 분석 보고서]

   헬스케어 산업이 유망산업으로 떠 오르게 되면서 증권사 애널리스트들이 관련주에 대해 분석 보고서를 쏟아내고 있습니다다. 구글로 다음과 같이 키워드를 설정하여 검색하면 비교적 손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검색식: '기업명' 분석보고서

  예> 메디아나 분석보고서



[상장사 정보]

   상장사들은 기업에게 투자를 받기 위해 IR활동을 합니다. 이런 자료들은 회사 홈페이지에 올라가 있거나 구글의 간단한 키워드로 찾아 낼 수가 있습니다.

검색식:  '기업명' IR

  예> 아이센스 IR

   뿐만 아니라 팍스넷을 이용하면, 경쟁사, 매출현황, 지배구조 등등 더 세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 편리 합니다.



[식약처 의료기기전자민원창구]



  앞의 방법(애널리스트 분석보고서, 기업 IR자료)과 조합해서 사용하면, 회사가 생산하는 제품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식약처가 민원인을 위해 운영하는 '의료기기 전자민원창구(https://emed.mfds.go.kr)'를 통하면, 회사가 현재 생산하고 있는 의료기기, 업허가 일, 제조사인지 수입사인지 또는 겸업하고 있는지 등을 파악할 수가 있습니다.



[상용 DB 활용하기]

   다른 산업과 마찬가지로 의료기기도 시장, 기술 정보에 대한 상용데이터베이스가 있습니다. 가장 큰 단점은 '가격'과 '접근성'이 될 것 같습니다. (이용하려면 서비스 가능한 기관을 찾아야 된다.)사용 해 본 DB별 간단한 장단점을 본다면...

 1. Frost & Sullivan (https://ww2.frost.com)
 2. BMI Research (https://bmo.bmiresearch.com)
 3. Global Data (https://medical.globaldata.com)

  그렇지만 뭐니뭐니해도 가장 큰 단점은 국내 정보가 영어 많지 않다는 것 입니다. 상용 DB를 판매하는 국내 에이전트들한테 물어 보았을 때는 우리나라에는 이런 분석보고서를 발행하는 애널리스트가 없고, 인도나 싱가포르의 애널리스트들이 작성을 한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아마도 그 애널리스트들이 참고할 수 있는 자료들은 '영어'이고 기업이 외부에 공개한 몇 안되는 영어 자료로 분석 보고서를 작성해야 하니, 자료의 양이나 질이 많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론... 관심가는 시장도 아니고, 규모 있는 세계적인 기업이 없는 것도 문제기는 하겠지만요.)
  이런 분석보고서를 쓰는 애널리스트들은 우리나라 식약처 관련 동향도 싣기는 하는데, 식약처는 더더더더욱 영어로 된 자료들이 별로 없고, 또 내용+웹사이트도 자주 바뀌어 찾기도 힘들어 할 것 같습니다. 자주 바뀌는 것도 문제고 바뀔 수 밖에 없다면, 충실한 안내가 있어야 하는데 총체적 난관일 것 같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한글로 정보를 찾기 어려운 건 내국인도 마찬가지인데, 외국인은 오죽할까...)

  이야기가 딴 데로 좀 샌 감은 있지만, 유수의 상용 DB는 아직까지 국내 기업보다는 '국외 기업'의 정보를 찾기에 조금 더 적합한 것 같습니다.

참고로, 우리나라 의료기기 관련 상장사는 대략 다음과 같은 회사가 있습니다.

기업명 종목번호
나노엔텍 039860
디알텍 214680
디오 039840
레이언스 228850
루트로닉 085370
마크로젠 038290
메디아나 041920
메디톡스 086900
메디포스트 078160
멕아이씨에스 058110
바디텍메드 206640
바텍 043150
보령메디앙스 014100
뷰웍스 100120
비트컴퓨터 032850
세운메디칼 100700
셀바스헬스케어 208370
솔고바이오 043100
씨유메디칼 115480
엠지메드 180400
오스템임플란트 048260 
유비케어 032620
유앤아이 056090
인바디 041830
인성정보 033230
인터로조 119610
인트로메딕 150840
인피니트헬스케어 071200 
차바이오텍 085660
코렌텍 104540
파미셀 005690
휴비츠 065510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한국의 의료기기 정의 및 품목군, 품목분류, 등급 (Medical Device Classification in Korea)

우리나라의 의료기기의 정의, 의료기기의 품목과 품목별 등급에 대한 이야기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의료기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정의, 품목군, 품목분류, 등급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합니다. [의료기기의 정의]   의료기기를 한 마디로 정의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 입니다. 종류와 쓰임새가 다양한 기기가 무척이나 많습니다. 또 한편으로는 기술의 융복합에 따라 새로운 의료기기가 출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는 ' 의료기기 법 '에서는 다음과 같이 의료기기를 정의 해 놓았습니다. (출처: 의료기기법 제2조 제1항)      ① 이 법에서 "의료기기"란 사람이나 동물에게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되는 기구·기계·장치·재료 또는 이와 유 사한 제품으로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제품을 말한다. 다만, 「약사법」에 따른 의약품과 의약외품 및 「장애인복지법」 제65조에 따른 장애인보조기구 중 의지(義肢)·보조기(補助器)는 제외한다. 1. 질병을 진단·치료·경감·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2. 상해(傷害) 또는 장애를 진단·치료·경감 또는 보정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3. 구조 또는 기능을 검사·대체 또는 변형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4. 임신을 조절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의료기기법은 2003년 5월 29일에 공포 되었고, 2004년 5월 30일부터 시행 되었습니다. '의료기기 법'이 제정되기 이전 '의료기기'는 '의약품과 의약외품등'과 같이 "약사법"에서 관리가 되었으나 관련 법령으로는 관리에 한계가 있어 '의료기기법'이 제정되었습니다. (이러한 과정은 미국이나 일본과도 유사합니다. 미국의 경우에는 1976년 5월 28일에 '의료기기 관련법'이 제정 되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2014년 1월 1일부터는 '체외진단기기 관련 시약'도 기존...

의공학과를 졸업하면 할 수 있는 일들 (Designing a Career in Biomedical Engineering)

출처: EMBS 발간, BME-Career-Guide-REVISED-koKR  (이 글은 '의공학'을 전공으로 학부만 졸업한 사람을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의공학 관련 석사,박사 소지자도 관심 가지셔도 좋을 듯 합니다.)  의공학을 한 사람만이 갈 수 있는 직장은 아닐 수도 있지만, 의공학을 하는데 어떠한 진로가 있는지 몰라서 고민하는 사람, 의공학 전공을 살려 취업 하는 것을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또한 이 분야가 의공학 한 사람들이 선택할 수 있는 선택지 중의 예시라고 생각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의공학부로 입학을 해서 '의용전자 공학사'로 학부를 마쳤습니다. 제가 공부를 시작 할 당시(2001년)만 하더라도 '첨단 의료기기 산업'이 앞으로의 미래에 유망하기 때문에 전망이 좋을 거라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아주 오래 전은 아니지만 2000년 초반만 하더라도 전국에 '의공학(Biomedical Engineering)관련 학과가 학부에 설치된 곳은 많지 않았습니다. 연세대, 건국대, 인제대, 경희대(동서의료공학과) 등 손에 꼽을 정도 였습니다. (지금처럼 ' 의공학 전공 대학생 연합 ' 이란 게 있었으면 많은 사람들이 진로, 취업 또는 학과 공부에 대해 혼란, 방황, 시행 착오를 좀 줄이는데에 도움이 되지 않았을까 싶기도 합니다.)   그리고 그 때는 지금과 같이 취업시장이 이렇게까지 절박(?)하지도 않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앞으로의 유망산업이고 사람도 많이 필요하다고 하니 졸업하면 어디든 가겠지?' 생각을 막연하게 했던 것 같습니다.   먼 미래일 것만 같던 졸업도 금세 다가오고 동기들 중 일부는 취업을 하고, 일부는 유학을 가고, 일부는 대학원을 진학을 하고 또 일부는 전공과는 전혀 관련이 없는 일을 하고 의공학 전공자들의 취업과 진로에는 뭐 그렇게 특별할 것 없던 것 같습니다.   그렇게 시간이 한 해...

의공학과 자격증 (Biomedical Engineering and License)

  의공학과를 가는 이유는 개인마다 다양하리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대학의 커리큘럼은 그 다양한 요구를 모두 충족하기가 어려운 것이 현실입니다.   대학이 전적으로 '직업인'을 양성하는 곳은 아닙니다. 그렇지만, 전공과 관련해 '자격증'을 획득할 수 있는 학과는 "교육과정"에서 그러한 부분을 일정 정도 커버해 주는 것이 학생 개인에게나 또는 학과에 여러모로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특히나 '보건의료 산업과 관련된 학과'는 대학 졸업장 외에도 취득할 수 있는 "자격증" 이 진로에 있어 "무기"라고 생각이 듭니다. 개인의 전문성을 증명하는데도 도움이 되고 자격증을 요구하는 곳에 취업도 할 수 있습니다. ("자격증 소지"가 전부가 아니라 그러한 "자격"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해야겠지만요.)   의공학을 전공한다면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자격증이 몇 개 있습니다. 특히 병원에 설치된 '의공학과'에 취업을 한다면 자격증 보유 유무가 큰 영향을 끼친다고 알고 있습니다.   [의료공학 전문가, 대한의용생체공학회]  비운의 자격증(?)입니다. 대한의용생체공학회가 발급하는 '민간자격증'이고 의료기기와 관련한 국가 자격증이 신설 된 후에는 명맥이 끊어진 것 같습니다.  저는 이 자격증 세대인데, 당시에 이 자격증이 있으면 병원 취업에 자격증이 없는 것 보다는 조금 더 유리했다고 알고 있습니다. 시험은 운전면허 시험같은 느낌(?)이 있습니다. 공부를 해도/안 해도 떨어진다는 소문...   그래도 이게 있으면 어디 쓸모가 있지 않을까 싶어서 따 놨는데, 아직까지 특별한 쓸모는 없었습니다. 병원에 취업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스스로 위로 합니다. 그래도 불만은 많습니다.   이 자격증을 가지고 있으면 후에 나온 '국가자격증'으로 자동 전환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