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의료기기 스타트업과 공공기관의 지원사업(Medical Device Startups and Projects)

     주요 정부 부처와 산하 기관에서 내는 공고 외에도 의료기기 스타트업들을 위한 지원사업 들이 많이 있습니다. 다만 그 공고를 내는 곳이 어디인지 몰라서, 언제 나오는지 몰라서 기회를 놓치는 경우를 주변에서 종종 봅니다.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에 있는 의료기기 관련 주요 공공기관의 지원 사업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소개해 볼까 합니다.   기관들은 기업들을 지원하고 있는 '주요 지원사업 정보' 를 요약해서 사업 소개 페이지를 게시 합니다. 그 정보는 공급자(공공기관) 중심의 정보이기 때문에 기업들은 막상 그 정보를 통해 무엇을 지원 받을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알기는 어렵습니다. 때문에 '우리 회사가 무엇을 지원받을 수 있는지' 에 대해서는 사업공고의 공고문 을 보면 됩니다. 하지만 그 공급자 중심의 정보에서도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정보 가 있습니다. 그 지원사업이 "얼마동안 지속될 지에 대한 단서" 와 "지원사업 재원의 특성" 입니다. [사업 개요 파악]   공고문만 확인해도 되지만 지원 사업의 의미와 큰 그림을 파악하려면 사업 개요를 통해 몇 가지 정보를 확인 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순히 정보 파악의 의미 외에도 사업 수주의 성공을 높일 수 있는 중요 활동 입니다.   '지원 기간' 을 통해 지원사업이 단편적인지 연례 반복적인지를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연례 반복적이라면, 지금은 놓쳤더라도 공고 시기를 알 수 있으니 준비할 수가 있습니다. '지원사업 재원의 특성' 을 알면 우리 회사가 지원 가능한 사업인지 아닌지도 예측 가능합니다. 또한  '지원 사업명'이나 '사업 개요'를 보면 '재원을 투입하는 주체' 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체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공공기관들의 지원사업 재원 형태는 다음과 같은 경우가 있습니다.  - 국비 단독 : 기업 소재지와 상관없이 지원합니다.  - 국비, 지방비 :...

의공학과를 졸업하면 할 수 있는 일들 (Designing a Career in Biomedical Engineering)


출처: EMBS 발간, BME-Career-Guide-REVISED-koKR

 (이 글은 '의공학'을 전공으로 학부만 졸업한 사람을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의공학 관련 석사,박사 소지자도 관심 가지셔도 좋을 듯 합니다.)

 의공학을 한 사람만이 갈 수 있는 직장은 아닐 수도 있지만, 의공학을 하는데 어떠한 진로가 있는지 몰라서 고민하는 사람, 의공학 전공을 살려 취업 하는 것을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또한 이 분야가 의공학 한 사람들이 선택할 수 있는 선택지 중의 예시라고 생각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의공학부로 입학을 해서 '의용전자 공학사'로 학부를 마쳤습니다. 제가 공부를 시작 할 당시(2001년)만 하더라도 '첨단 의료기기 산업'이 앞으로의 미래에 유망하기 때문에 전망이 좋을 거라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아주 오래 전은 아니지만 2000년 초반만 하더라도 전국에 '의공학(Biomedical Engineering)관련 학과가 학부에 설치된 곳은 많지 않았습니다. 연세대, 건국대, 인제대, 경희대(동서의료공학과) 등 손에 꼽을 정도 였습니다. (지금처럼 '의공학 전공 대학생 연합' 이란 게 있었으면 많은 사람들이 진로, 취업 또는 학과 공부에 대해 혼란, 방황, 시행 착오를 좀 줄이는데에 도움이 되지 않았을까 싶기도 합니다.)

  그리고 그 때는 지금과 같이 취업시장이 이렇게까지 절박(?)하지도 않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앞으로의 유망산업이고 사람도 많이 필요하다고 하니 졸업하면 어디든 가겠지?' 생각을 막연하게 했던 것 같습니다.

  먼 미래일 것만 같던 졸업도 금세 다가오고 동기들 중 일부는 취업을 하고, 일부는 유학을 가고, 일부는 대학원을 진학을 하고 또 일부는 전공과는 전혀 관련이 없는 일을 하고 의공학 전공자들의 취업과 진로에는 뭐 그렇게 특별할 것 없던 것 같습니다.

  그렇게 시간이 한 해 두해 지나가고 저도 사회에 나와 일을 하다보니, 학교에서 막연하게 생각했던 것과 현실은 큰 차이가 있었고 '어떤 일을 할까'란 생각을 대략적으로 윤곽을 그리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절실하게 느끼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또 세상은 정말 빠르게 변하고 있고 다양한 직업도 생겨나고 있구요.)

  2017년 현재, 전국에는 대략 40여개의 '의공학 관련' 학과가 있다고 합니다. 의공학이란 학문 자체가 워낙 범위가 넓다보니, 학부 4년이라는 시간에 배울 수 있는 양과 범위는 한정되어 있습니다. 또한 학교별로도 재직하는 교수님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전공에 따라 커리큘럼이 다르다 보니, 교육과정을 트랙별로 일반화 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조금 과장한다면 "너와 내가 생각하는 의공학"이 다를 수도 있죠.) 최근 학회(대한의용생체공학회)차원에서 표준화된 교과 과정 논의가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기는 한데, 그런게 있었다는 것만 알지 실제로 대학 교과 과정에 어떻게 반영이 되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공학'을 전공한 사람들의 수요는 "꾸준"하게 이어져 왔고, 최근에 들어와 정말 'Hot' 해진 걸 느낍니다.

  그런데 제가 체감하기에는 이상한 점이 하나 있었습니다. 일 자리를 찾는 사람은 일할 곳을 못 찾고, 일 할 사람을 찾는 곳은 '뽑고 싶은 사람'을 못 뽑아 걱정이 많습니다.

  의공학과를 나오면 무슨 일을 할 수 있나요? 라는 문답은 인터넷에서 조금만 찾아도 많이 볼 수 있기 때문에 저는 조금 더 '당장 취업'과 같은 이야기를 해 볼까 합니다.
(우수한 인재들이 세상으로 많이 나오고 참여해야 의공학이 지금 보다 발전 할 수 있지 않을까요?)



[취업/진로와 관련한 정보를 모을 수 있는 사이트]

- 하이브레인넷 (http://hibrain.net/)

: 하이브레인넷은 '석박사' 위주의 연구 인력, 교원 임용에 대한 정보가 많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대학원 진학과 관련된 고민을 나눌 수도 있습니다. 이 시스템을 주기적으로 이용하다보면, 자신이 종사하고자 하는 업무에 필요한 능력, 자질, 연봉 등을 파악할 수 있다고 봅니다. 웹 사이트도 있지만 모바일 앱도 있습니다.

- 링크드인 (https://www.linkedin.com/)

: 일종의 SNS인데, 구인, 구직자 들을 위한 시스템 입니다. 기본 기능은 SNS인 만큼 자신이 관심 있는 '그룹'에 참여한다면, 업계에서 돌아가는 이야기들을 현직자들을 통해 들을 수 있으며, 한편으로는 요즈음 기업에서는 '어떠한 사람'을 뽑고 싶어 하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외국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기가 좋네요.) 여기도 역시 웹사이트와 앱 모두 다 있습니다.

[기업]

 2015년 의료기기산업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기준 우리나라 의료기기 제조업체는 2,768개 이고, 수입업체는 2,173개라고 합니다. (겸업하는 곳도 있을 겁니다.)

 - 국내 및 국외
<상장사>
: 상장사들에 대한 자료 검색은 비교적 쉬운 편 입니다.
  여기 링크를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비상장사>
: 미래의 성장 가능성을 보고 뛰어 들어야겠지요.
  앞서 말씀 드린 취업과 관련된 사이트를 참고해 보시거나 믿음직한(?) 친구, 선배의 소개를 통해 가능 하겠지요. 또는 [링크]네트워킹이 열리는 행사에 참여해서 동향을 파악해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기업에서 할 수 있는 의공학 전공자들의 영역은 다양 할텐데 다음에 기회가 있으면 다루어 보겠습니다.)

[시험/컨설팅 기관]

 의료기기를 판매하기 위해서는 식약처의 인허가를 받아야되고 인정기관의 공인 시험을 받아야 됩니다. 그에 대한 시험을 담당하는 기관, 기업에도 취업의 기회는 있습니다. 시험 뿐만 아니라 의료기기 시험 검사 정책에 대한 국가 연구 과제도 진행 합니다.

- 한국산업기술시험원 (https://www.ktl.re.kr)
-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http://www.ktr.or.kr/)
-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http://www.ktc.re.kr)

- SGS
- BSI
- UL

 의료기기를 제조, 인허가 받기 위해서는 외부 컨설팅을 활용하기도 합니다. 그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도 있습니다.


 관련 전공 졸업생이 취업한 사례는 아직 확인은 못 했는데, 헬스케어 산업과 관련된 '경영 컨설팅'에 관심이 있다면 한번 둘러 보시면 어떨까요? (또는 현직 회계사 친구들에게 우리나라 주요 컨설팅 펌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도 있을 겁니다.)

- KPMG

[정부 부처 및 공공기관]

  다음 3개는 굳이 설명이 필요 없는 기관들이겠네요. (모르신다면, 방문을... ^^)

- 식약처 (http://www.mfds.go.kr)
- 의료기기 정보기술지원센터 (http://www.mditac.or.kr/)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https://www.khidi.or.kr/kps)

  그리고 우리나라에는 자생적으로 발전한 의료기기 산업 클러스터가 있습니다.

- (재)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 (http://www.wmit.or.kr)

  한편으로 법률에 의거하여 지정된 단지(첨단의료복합단지)도 있습니다.

- 대구경북 첨단의료산업 진흥재단 (http://www.dgmif.re.kr)
- 오송 첨단의료산업 진흥재단 (https://www.kbiohealth.kr)
- 대구경북/오송 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지원정보시스템 (http://www.medibiz.re.kr)

[병원]

  주요 대학병원 또는 중소 병원에는 '의공기사' 인력이 일을 하고 있습니다. 국가 자격으로 전환된 후 한 때, 의공학 전공자들의 관심이 높았었지요.

 - 서울 아산병원 의공학과
 - 서울대학교 병원 의공학과

 외에 다양한 병원에서 의공학과를 설치하고 있는데, 제가 찾을 수 있는 링크는 지금은 이게 전부였습니다.

[단체 및 협회]

 - 한국 의료기기 공업협동조합 (http://www.medinet.or.kr/)
 - 한국 의료기기 산업협회 (http://www.kmdia.or.kr/)

  의료기기 산업과 관련된 협회에서도 일 할 수 있습니다.


  의공학을 전공하면 이렇듯 전공과 관련된 다양한 일을 할 수가 있습니다. 본인의 적성과 흥미에 맞는 일을 찾으실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또는 [링크]EMBS 발간한 관련 자료(미국 전기전자공학회(IEEE)의 Engineering in Medicine and Biology에서 만든 Career designing 사이트)를 보셔도 좋겠네요.
(참고로 2017년 39회 국제 의공학회가 우리나라 제주도에서 열립니다.)

댓글

댓글 쓰기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한국의 의료기기 정의 및 품목군, 품목분류, 등급 (Medical Device Classification in Korea)

우리나라의 의료기기의 정의, 의료기기의 품목과 품목별 등급에 대한 이야기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의료기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정의, 품목군, 품목분류, 등급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합니다. [의료기기의 정의]   의료기기를 한 마디로 정의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 입니다. 종류와 쓰임새가 다양한 기기가 무척이나 많습니다. 또 한편으로는 기술의 융복합에 따라 새로운 의료기기가 출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는 ' 의료기기 법 '에서는 다음과 같이 의료기기를 정의 해 놓았습니다. (출처: 의료기기법 제2조 제1항)      ① 이 법에서 "의료기기"란 사람이나 동물에게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되는 기구·기계·장치·재료 또는 이와 유 사한 제품으로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제품을 말한다. 다만, 「약사법」에 따른 의약품과 의약외품 및 「장애인복지법」 제65조에 따른 장애인보조기구 중 의지(義肢)·보조기(補助器)는 제외한다. 1. 질병을 진단·치료·경감·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2. 상해(傷害) 또는 장애를 진단·치료·경감 또는 보정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3. 구조 또는 기능을 검사·대체 또는 변형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4. 임신을 조절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의료기기법은 2003년 5월 29일에 공포 되었고, 2004년 5월 30일부터 시행 되었습니다. '의료기기 법'이 제정되기 이전 '의료기기'는 '의약품과 의약외품등'과 같이 "약사법"에서 관리가 되었으나 관련 법령으로는 관리에 한계가 있어 '의료기기법'이 제정되었습니다. (이러한 과정은 미국이나 일본과도 유사합니다. 미국의 경우에는 1976년 5월 28일에 '의료기기 관련법'이 제정 되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2014년 1월 1일부터는 '체외진단기기 관련 시약'도 기존...

의공학과 자격증 (Biomedical Engineering and License)

  의공학과를 가는 이유는 개인마다 다양하리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대학의 커리큘럼은 그 다양한 요구를 모두 충족하기가 어려운 것이 현실입니다.   대학이 전적으로 '직업인'을 양성하는 곳은 아닙니다. 그렇지만, 전공과 관련해 '자격증'을 획득할 수 있는 학과는 "교육과정"에서 그러한 부분을 일정 정도 커버해 주는 것이 학생 개인에게나 또는 학과에 여러모로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특히나 '보건의료 산업과 관련된 학과'는 대학 졸업장 외에도 취득할 수 있는 "자격증" 이 진로에 있어 "무기"라고 생각이 듭니다. 개인의 전문성을 증명하는데도 도움이 되고 자격증을 요구하는 곳에 취업도 할 수 있습니다. ("자격증 소지"가 전부가 아니라 그러한 "자격"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해야겠지만요.)   의공학을 전공한다면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자격증이 몇 개 있습니다. 특히 병원에 설치된 '의공학과'에 취업을 한다면 자격증 보유 유무가 큰 영향을 끼친다고 알고 있습니다.   [의료공학 전문가, 대한의용생체공학회]  비운의 자격증(?)입니다. 대한의용생체공학회가 발급하는 '민간자격증'이고 의료기기와 관련한 국가 자격증이 신설 된 후에는 명맥이 끊어진 것 같습니다.  저는 이 자격증 세대인데, 당시에 이 자격증이 있으면 병원 취업에 자격증이 없는 것 보다는 조금 더 유리했다고 알고 있습니다. 시험은 운전면허 시험같은 느낌(?)이 있습니다. 공부를 해도/안 해도 떨어진다는 소문...   그래도 이게 있으면 어디 쓸모가 있지 않을까 싶어서 따 놨는데, 아직까지 특별한 쓸모는 없었습니다. 병원에 취업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스스로 위로 합니다. 그래도 불만은 많습니다.   이 자격증을 가지고 있으면 후에 나온 '국가자격증'으로 자동 전환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