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의료기기 스타트업과 공공기관의 지원사업(Medical Device Startups and Projects)

     주요 정부 부처와 산하 기관에서 내는 공고 외에도 의료기기 스타트업들을 위한 지원사업 들이 많이 있습니다. 다만 그 공고를 내는 곳이 어디인지 몰라서, 언제 나오는지 몰라서 기회를 놓치는 경우를 주변에서 종종 봅니다.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에 있는 의료기기 관련 주요 공공기관의 지원 사업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소개해 볼까 합니다.   기관들은 기업들을 지원하고 있는 '주요 지원사업 정보' 를 요약해서 사업 소개 페이지를 게시 합니다. 그 정보는 공급자(공공기관) 중심의 정보이기 때문에 기업들은 막상 그 정보를 통해 무엇을 지원 받을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알기는 어렵습니다. 때문에 '우리 회사가 무엇을 지원받을 수 있는지' 에 대해서는 사업공고의 공고문 을 보면 됩니다. 하지만 그 공급자 중심의 정보에서도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정보 가 있습니다. 그 지원사업이 "얼마동안 지속될 지에 대한 단서" 와 "지원사업 재원의 특성" 입니다. [사업 개요 파악]   공고문만 확인해도 되지만 지원 사업의 의미와 큰 그림을 파악하려면 사업 개요를 통해 몇 가지 정보를 확인 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순히 정보 파악의 의미 외에도 사업 수주의 성공을 높일 수 있는 중요 활동 입니다.   '지원 기간' 을 통해 지원사업이 단편적인지 연례 반복적인지를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연례 반복적이라면, 지금은 놓쳤더라도 공고 시기를 알 수 있으니 준비할 수가 있습니다. '지원사업 재원의 특성' 을 알면 우리 회사가 지원 가능한 사업인지 아닌지도 예측 가능합니다. 또한  '지원 사업명'이나 '사업 개요'를 보면 '재원을 투입하는 주체' 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체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공공기관들의 지원사업 재원 형태는 다음과 같은 경우가 있습니다.  - 국비 단독 : 기업 소재지와 상관없이 지원합니다.  - 국비, 지방비 :

의료기기 회사들의 디지털 헬스케어 시대의 기대변화에 대응하기

   딜로이트(Deloitte)에서 내 놓은 보고서('디지털 환경의 환자관여 전략'-생명과학 기업이 환자의 기대 변화에 대응하기)를 보고 벤치마킹(?) 제목이 떠 올랐다.

의료기기 회사들의 디지털 헬스케어 시대의 기대변화에 대응하기

  먼저 딜로이트 보고서의 내용을 조금만 요약해 보면 이 보고서가 나오게 된 계기가

  "전통적인 헬스케어 산업 외부에서 생태계로 신규 진입하는 참여자들, 즉 웨어러블 헬스모니터, 모바일 웰니스 앱, 장비 회사, 통신업체 등이 변화하는 환자들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재빨리 움직이고 있다."

  세상은 이렇게 돌아가는데,

   제약 회사는 이렇게 바뀐 시장 환경에서 어떻게 "돈을 벌 준비"를 하고 있니?
   우리한테 컨설팅 받을래? 

 그래서 제안하는 방법은 '환자에게 권력을...' , '제약회사의 독특한 위치를 알아라'. '환자관여에 있어 제시할 수 있는 '우수한 모델' 이란', '기회를 이해하기'로 섹션이 구성되어 있다.

 생명과학회사(제약회사)를 대상으로 한 insight이지만, 많은 내용은 의료기기 회사로 치환해도 크게 무리는 없는 내용 같다. 어쨌든 핵심도 현재 자사의 전략, 상품, 역량, 제공 서비스를 자문해 봐야 한다고 하는 거니...

(본문 "기회를 이해하기" 중에서...  몇 가지 질문을 추려보면...)
 - 당신의 기업은 자사가 다루는 환자 시장과 시장의 주요 위험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가?
 (이 보고서에서의 핵심은 환자의 특성을 잘 관찰하고 환자와 의료서비스 제공자와 그 주변도 잘 관찰하라는 이야기를 고혈압 환자의 투약사례를 들어서 다루고 있다.)
  의료기기 시장도 이와 비슷한 insight를 가져 볼 수 있다고 본다. 신규로 '의료기기 제조' 시장에 뛰어드는 분들 중, 놀랍게도 많은 비율로 '이 기계 하나로 다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본인의 바램과 달리 '의료기기 시장'도 '의료 서비스'에 종속되어 있다는 걸 알면 더 많은 게 보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반도체 시장에서 돈을 많이 벌 수 있는 이유는 반도체가 쓰이는 곳이 많아서지 반도체 그 자체로는 아무런 쓸모가 없다는 것과 비슷하다.
  그리고 의료기기 시장은 일반 제조의 시장과 확연히 다르다. (내 자식 중에 안 특별한 자식이 있겠느냐만은...) 그래도 특히 다른 점은 강제하는 "규제"가 존재하고, 기기를 사용하는 사람이 서비스 대상일 수도 아닐 수도 있는 '역지사지'해야 되는 시장이기도 하다.
  '규제'가 걸림돌이 아니라 '나의 편한 생각'이 시장 진입의 걸림돌이 될 수도 있다.

- 당신의 기업은 임상 교육 및 치료법 관리와 관련해서 환자 및 의료 서비스 제공자에게 리더십을 보이고 있는가?
  (이 보고서에서는 '약만 팔아서는 안 된다' '임상 교육과 같은 서비스'를 해라가 주요 내용이었다.)
  역시나 또(?) 놀랍게도 '의료기기'를 만들기 위해 처음 시장에 진입한 사람들 중 많은 수가 '이 기계를 만들면 모두가 쓸 것이다'라는 생각을 한다. 이 기계를 어떻게 사용하도록 유도할지, 그리고 누가 그러한 선택권을 가지고 있는지 꼭.꼭.꼭. 고민해야 한다. 언젠가 스치듯이 들었던 이야기인데, 우리나라의 경우 수도권으로 갈 수록 의료기기의 선택권이 현장 진료자나 의공학과와 같은 지원부서에 있고 지방으로 갈 수록 각 과의 '과장'에게 있다고 한다. (여러 맥락의 해석이 가능하겠지만...) 보험왕은 보험 가입자를 유치하기 위해 보험에 대한 이야기를 안 한다고 한다. 자동차 판매왕도 자동차에 대한 이야기보다는 고객 자체에 더 관심을 갖는다고 한다.
   전통적(?) 의료기기라면, 사용법 세미나(현행 의료법이 허용하는 수준에서 자동차 신제품 발표와 같이...)와 같은 것을 열어 볼 수도 있는 거고... 뭐 그런거 아니겠나?

- 환자 회복 과정 및 자사 제품 사용법 준수를 최적화 하고 있는가?
 (이 보고서에서는 효과를 최대화 하기 위해, 지원할 수 있는 다른 노력도 해 보라고 주문)
  조금 살짜쿵 다른 이야기일 수는 있겠지만, 제조사가 만든 기기를 제조사 의도한 바와 같이 안 쓸 수도 있다. (우리도 흔히 겪는 일이다. 숟가락으로 병뚜껑을 딴다던지, 이쑤시개로 여드름을 짠다던지, 성냥개비로 귀를 판다던지... 멀리 있는 사례가 아닐 것이다.) 때문에 의도된 사용에서 벗어나지 않도록에 대한 노오오오력을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말고 제조사는 충분히 해야 한다.

- 환자의 치료성과를 개선하기 위한 의료서비스 제공자의 노력을 지원하고 있는가?
 (앞이랑 비스름 한 이야기, 의료 서비스 제공자가 노력하는 걸 너네는 뭘 도와주고 있니?라는 당연한 이야기? 물론, 환자의 치료성과를 측정하고 실제 증거를 수집할 수 있도록 어떻게 역량을 부여할 수 있는 고민하라는...)
  의료기기로 가져와 보면, '좋다고만 주장'할 게 아니라 '좋다. 근거 있다는 주장'을 사용자가 할 수 있도록 치밀한 지원을 하라는 이야기.

  근데 이 보고서의 논조와 제시하는 내용을 읽고 들었던 생각은...

  '제약회사는 여태 시장에서 군림자 같았나보다...'하는 생각...

  이제 정보가 독점될 수 있는 시대는 아니다. 그리고 정보는 독점할 때, 궁극적으로는 빛을 바래는 것 같다. 정보는 나눌 수록 그리고 공유하는 사람이 많을 수록 모든 것이 풍성해 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사실... 읽어보면, 디지털 시대만을 위한 준비 자세는 아니지만, 많은 것을 생각해 볼 수 있었다.

  그럼 디지털 헬스케어 시대에 대해 의료기기 회사들이 준비할 insight의 출발점은?

  '너(회사)도 아는 걸 나(소비자)는 더 잘 안다' 정도면 되려나?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한국의 의료기기 정의 및 품목군, 품목분류, 등급 (Medical Device Classification in Korea)

우리나라의 의료기기의 정의, 의료기기의 품목과 품목별 등급에 대한 이야기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의료기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정의, 품목군, 품목분류, 등급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합니다. [의료기기의 정의]   의료기기를 한 마디로 정의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 입니다. 종류와 쓰임새가 다양한 기기가 무척이나 많습니다. 또 한편으로는 기술의 융복합에 따라 새로운 의료기기가 출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는 ' 의료기기 법 '에서는 다음과 같이 의료기기를 정의 해 놓았습니다. (출처: 의료기기법 제2조 제1항)      ① 이 법에서 "의료기기"란 사람이나 동물에게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되는 기구·기계·장치·재료 또는 이와 유 사한 제품으로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제품을 말한다. 다만, 「약사법」에 따른 의약품과 의약외품 및 「장애인복지법」 제65조에 따른 장애인보조기구 중 의지(義肢)·보조기(補助器)는 제외한다. 1. 질병을 진단·치료·경감·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2. 상해(傷害) 또는 장애를 진단·치료·경감 또는 보정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3. 구조 또는 기능을 검사·대체 또는 변형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4. 임신을 조절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의료기기법은 2003년 5월 29일에 공포 되었고, 2004년 5월 30일부터 시행 되었습니다. '의료기기 법'이 제정되기 이전 '의료기기'는 '의약품과 의약외품등'과 같이 "약사법"에서 관리가 되었으나 관련 법령으로는 관리에 한계가 있어 '의료기기법'이 제정되었습니다. (이러한 과정은 미국이나 일본과도 유사합니다. 미국의 경우에는 1976년 5월 28일에 '의료기기 관련법'이 제정 되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2014년 1월 1일부터는 '체외진단기기 관련 시약'도 기존

의공학과를 졸업하면 할 수 있는 일들 (Designing a Career in Biomedical Engineering)

출처: EMBS 발간, BME-Career-Guide-REVISED-koKR  (이 글은 '의공학'을 전공으로 학부만 졸업한 사람을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의공학 관련 석사,박사 소지자도 관심 가지셔도 좋을 듯 합니다.)  의공학을 한 사람만이 갈 수 있는 직장은 아닐 수도 있지만, 의공학을 하는데 어떠한 진로가 있는지 몰라서 고민하는 사람, 의공학 전공을 살려 취업 하는 것을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또한 이 분야가 의공학 한 사람들이 선택할 수 있는 선택지 중의 예시라고 생각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의공학부로 입학을 해서 '의용전자 공학사'로 학부를 마쳤습니다. 제가 공부를 시작 할 당시(2001년)만 하더라도 '첨단 의료기기 산업'이 앞으로의 미래에 유망하기 때문에 전망이 좋을 거라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아주 오래 전은 아니지만 2000년 초반만 하더라도 전국에 '의공학(Biomedical Engineering)관련 학과가 학부에 설치된 곳은 많지 않았습니다. 연세대, 건국대, 인제대, 경희대(동서의료공학과) 등 손에 꼽을 정도 였습니다. (지금처럼 ' 의공학 전공 대학생 연합 ' 이란 게 있었으면 많은 사람들이 진로, 취업 또는 학과 공부에 대해 혼란, 방황, 시행 착오를 좀 줄이는데에 도움이 되지 않았을까 싶기도 합니다.)   그리고 그 때는 지금과 같이 취업시장이 이렇게까지 절박(?)하지도 않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앞으로의 유망산업이고 사람도 많이 필요하다고 하니 졸업하면 어디든 가겠지?' 생각을 막연하게 했던 것 같습니다.   먼 미래일 것만 같던 졸업도 금세 다가오고 동기들 중 일부는 취업을 하고, 일부는 유학을 가고, 일부는 대학원을 진학을 하고 또 일부는 전공과는 전혀 관련이 없는 일을 하고 의공학 전공자들의 취업과 진로에는 뭐 그렇게 특별할 것 없던 것 같습니다.   그렇게 시간이 한 해

의공학과 자격증 (Biomedical Engineering and License)

  의공학과를 가는 이유는 개인마다 다양하리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대학의 커리큘럼은 그 다양한 요구를 모두 충족하기가 어려운 것이 현실입니다.   대학이 전적으로 '직업인'을 양성하는 곳은 아닙니다. 그렇지만, 전공과 관련해 '자격증'을 획득할 수 있는 학과는 "교육과정"에서 그러한 부분을 일정 정도 커버해 주는 것이 학생 개인에게나 또는 학과에 여러모로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특히나 '보건의료 산업과 관련된 학과'는 대학 졸업장 외에도 취득할 수 있는 "자격증" 이 진로에 있어 "무기"라고 생각이 듭니다. 개인의 전문성을 증명하는데도 도움이 되고 자격증을 요구하는 곳에 취업도 할 수 있습니다. ("자격증 소지"가 전부가 아니라 그러한 "자격"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해야겠지만요.)   의공학을 전공한다면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자격증이 몇 개 있습니다. 특히 병원에 설치된 '의공학과'에 취업을 한다면 자격증 보유 유무가 큰 영향을 끼친다고 알고 있습니다.   [의료공학 전문가, 대한의용생체공학회]  비운의 자격증(?)입니다. 대한의용생체공학회가 발급하는 '민간자격증'이고 의료기기와 관련한 국가 자격증이 신설 된 후에는 명맥이 끊어진 것 같습니다.  저는 이 자격증 세대인데, 당시에 이 자격증이 있으면 병원 취업에 자격증이 없는 것 보다는 조금 더 유리했다고 알고 있습니다. 시험은 운전면허 시험같은 느낌(?)이 있습니다. 공부를 해도/안 해도 떨어진다는 소문...   그래도 이게 있으면 어디 쓸모가 있지 않을까 싶어서 따 놨는데, 아직까지 특별한 쓸모는 없었습니다. 병원에 취업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스스로 위로 합니다. 그래도 불만은 많습니다.   이 자격증을 가지고 있으면 후에 나온 '국가자격증'으로 자동 전환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