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정부 부처와 산하 기관에서 내는 공고 외에도 의료기기 스타트업들을 위한 지원사업 들이 많이 있습니다. 다만 그 공고를 내는 곳이 어디인지 몰라서, 언제 나오는지 몰라서 기회를 놓치는 경우를 주변에서 종종 봅니다.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에 있는 의료기기 관련 주요 공공기관의 지원 사업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소개해 볼까 합니다. 기관들은 기업들을 지원하고 있는 '주요 지원사업 정보' 를 요약해서 사업 소개 페이지를 게시 합니다. 그 정보는 공급자(공공기관) 중심의 정보이기 때문에 기업들은 막상 그 정보를 통해 무엇을 지원 받을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알기는 어렵습니다. 때문에 '우리 회사가 무엇을 지원받을 수 있는지' 에 대해서는 사업공고의 공고문 을 보면 됩니다. 하지만 그 공급자 중심의 정보에서도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정보 가 있습니다. 그 지원사업이 "얼마동안 지속될 지에 대한 단서" 와 "지원사업 재원의 특성" 입니다. [사업 개요 파악] 공고문만 확인해도 되지만 지원 사업의 의미와 큰 그림을 파악하려면 사업 개요를 통해 몇 가지 정보를 확인 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순히 정보 파악의 의미 외에도 사업 수주의 성공을 높일 수 있는 중요 활동 입니다. '지원 기간' 을 통해 지원사업이 단편적인지 연례 반복적인지를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연례 반복적이라면, 지금은 놓쳤더라도 공고 시기를 알 수 있으니 준비할 수가 있습니다. '지원사업 재원의 특성' 을 알면 우리 회사가 지원 가능한 사업인지 아닌지도 예측 가능합니다. 또한 '지원 사업명'이나 '사업 개요'를 보면 '재원을 투입하는 주체' 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체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공공기관들의 지원사업 재원 형태는 다음과 같은 경우가 있습니다. - 국비 단독 : 기업 소재지와 상관없이 지원합니다. - 국비, 지방비 :...
내 마음에 쏙 드는 헬스케어 산업 보고서를 찾는 것(쓰는 게 아니다! 찾는 것)은 동의보감을 집필하는 것 만큼 이상으로 어려운 일이다.
다만, 무엇을 보더라도 '장님 코끼리 만지기' 밖에 될 수는 없다. 코를 먼저 만지던, 다리를 먼저 만지던 또는 꼬리를 먼저 만지더라도 상관은 없다고 생각한다. 그 조각조각들을 이어 붙이는 연습(?)을 하다보면 아시아 코끼리던, 아프리카 코끼리던 또는 생각 못한 코뿔소던 뭔가 그림이 나오겠지...
최근에 본 보고서 중 인상 깊었던 보고서는
국가표준코디네이터에서 발간한
1. 2016 표준 기반 R&D 로드맵 (스마트 헬스)
2. 2016 표준 기반 R&D 로드맵 (착용형 스마트 기기)
산업에서의 '표준'이라는 것은 여러가지 의미(관습 관례를 따르는 사실상 표준, 법이나 규정을 따르는 표준, 법적 강제력이 없는 표준)를 내포하고 있기는 하지만 '의료기기' 는 대체로 '강제적으로 따라하는 규제' 성격의 표준도 있다. 그런 '갈라파고스 같던 기기'에게 ICT 기술이 융합 되면서 '혼돈의 시대'가 왔다.
이 보고서에 소개된 '표준'들 대부분은 '규제기관'이 강제하는 '규격'이나 '표준'이라기 보다는 이런 기술은 이런 방향으로 가야 된다는 제언적인 성격이 많다고 본다. (이게 제언이나 보고서로만 끝나지 않고 후속적인 것이 계속 연계되어서 제품화, 산업화에 도움이 되어야 될 텐데...)
분량이 너무 많아서 두껍다. (예전에는 포럼 참석자에 한해 인쇄물을 무료로 배포하고, 기술 로드맵에 대한 대형 브로마이드까지 모두 무료로! 줬는데 지금은 어떨런지...)
책에서 제안하는 기술이나 로드맵이 꼭 절대적인 진리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분과위원에 식약처, 의료기기 정보기술지원센터 등과 관련된 위원은 전혀 없고 현직 의료기기 제조와 관련된 사람이 많이 없는 것은 큰 아쉬움...)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보고서를 공들여 읽어볼 만한 가치는 있다.
- 아쉬운 점:
1. 스마트헬스 보고서는 다소 산만한 구성, 스마트 헬스...라기 보다는 '의료 정보'로 좀 더 포커스 했으면 좋았을 거라는 그냥 느낌?
2. 스마트헬스 보고서는 기기와 의료정보 시스템을 왔다리갔다리...해서 깊이는 살짝 얕음(보고서그래서 어떻게 하라는 건데?라는 전통적인 의문이 생길 수도 있음)
3, 착용형 기기 보고서는 시중에 나온 제품들의 자료가 생각보다 조금 적음
- 좋은 점:
1. 기기던 시스템이던 서비스를 만들 때 알아야 할 기술 요소, 영역, 관련 표준을 맛 볼 수 있음
2. 나름 핫 한 이슈들을 한 번에 스크리닝 해 볼 수 있음
아쉬운 것, 좋은 것 상관없이 그래도 한 번 꼭 볼만함.
다만, 무엇을 보더라도 '장님 코끼리 만지기' 밖에 될 수는 없다. 코를 먼저 만지던, 다리를 먼저 만지던 또는 꼬리를 먼저 만지더라도 상관은 없다고 생각한다. 그 조각조각들을 이어 붙이는 연습(?)을 하다보면 아시아 코끼리던, 아프리카 코끼리던 또는 생각 못한 코뿔소던 뭔가 그림이 나오겠지...
최근에 본 보고서 중 인상 깊었던 보고서는
국가표준코디네이터에서 발간한
1. 2016 표준 기반 R&D 로드맵 (스마트 헬스)
2. 2016 표준 기반 R&D 로드맵 (착용형 스마트 기기)
산업에서의 '표준'이라는 것은 여러가지 의미(관습 관례를 따르는 사실상 표준, 법이나 규정을 따르는 표준, 법적 강제력이 없는 표준)를 내포하고 있기는 하지만 '의료기기' 는 대체로 '강제적으로 따라하는 규제' 성격의 표준도 있다. 그런 '갈라파고스 같던 기기'에게 ICT 기술이 융합 되면서 '혼돈의 시대'가 왔다.
이 보고서에 소개된 '표준'들 대부분은 '규제기관'이 강제하는 '규격'이나 '표준'이라기 보다는 이런 기술은 이런 방향으로 가야 된다는 제언적인 성격이 많다고 본다. (이게 제언이나 보고서로만 끝나지 않고 후속적인 것이 계속 연계되어서 제품화, 산업화에 도움이 되어야 될 텐데...)
분량이 너무 많아서 두껍다. (예전에는 포럼 참석자에 한해 인쇄물을 무료로 배포하고, 기술 로드맵에 대한 대형 브로마이드까지 모두 무료로! 줬는데 지금은 어떨런지...)
책에서 제안하는 기술이나 로드맵이 꼭 절대적인 진리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분과위원에 식약처, 의료기기 정보기술지원센터 등과 관련된 위원은 전혀 없고 현직 의료기기 제조와 관련된 사람이 많이 없는 것은 큰 아쉬움...)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보고서를 공들여 읽어볼 만한 가치는 있다.
- 아쉬운 점:
1. 스마트헬스 보고서는 다소 산만한 구성, 스마트 헬스...라기 보다는 '의료 정보'로 좀 더 포커스 했으면 좋았을 거라는 그냥 느낌?
2. 스마트헬스 보고서는 기기와 의료정보 시스템을 왔다리갔다리...해서 깊이는 살짝 얕음(보고서그래서 어떻게 하라는 건데?라는 전통적인 의문이 생길 수도 있음)
3, 착용형 기기 보고서는 시중에 나온 제품들의 자료가 생각보다 조금 적음
- 좋은 점:
1. 기기던 시스템이던 서비스를 만들 때 알아야 할 기술 요소, 영역, 관련 표준을 맛 볼 수 있음
2. 나름 핫 한 이슈들을 한 번에 스크리닝 해 볼 수 있음
아쉬운 것, 좋은 것 상관없이 그래도 한 번 꼭 볼만함.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