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의료기기 스타트업과 공공기관의 지원사업(Medical Device Startups and Projects)

     주요 정부 부처와 산하 기관에서 내는 공고 외에도 의료기기 스타트업들을 위한 지원사업 들이 많이 있습니다. 다만 그 공고를 내는 곳이 어디인지 몰라서, 언제 나오는지 몰라서 기회를 놓치는 경우를 주변에서 종종 봅니다.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에 있는 의료기기 관련 주요 공공기관의 지원 사업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소개해 볼까 합니다.   기관들은 기업들을 지원하고 있는 '주요 지원사업 정보' 를 요약해서 사업 소개 페이지를 게시 합니다. 그 정보는 공급자(공공기관) 중심의 정보이기 때문에 기업들은 막상 그 정보를 통해 무엇을 지원 받을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알기는 어렵습니다. 때문에 '우리 회사가 무엇을 지원받을 수 있는지' 에 대해서는 사업공고의 공고문 을 보면 됩니다. 하지만 그 공급자 중심의 정보에서도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정보 가 있습니다. 그 지원사업이 "얼마동안 지속될 지에 대한 단서" 와 "지원사업 재원의 특성" 입니다. [사업 개요 파악]   공고문만 확인해도 되지만 지원 사업의 의미와 큰 그림을 파악하려면 사업 개요를 통해 몇 가지 정보를 확인 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순히 정보 파악의 의미 외에도 사업 수주의 성공을 높일 수 있는 중요 활동 입니다.   '지원 기간' 을 통해 지원사업이 단편적인지 연례 반복적인지를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연례 반복적이라면, 지금은 놓쳤더라도 공고 시기를 알 수 있으니 준비할 수가 있습니다. '지원사업 재원의 특성' 을 알면 우리 회사가 지원 가능한 사업인지 아닌지도 예측 가능합니다. 또한  '지원 사업명'이나 '사업 개요'를 보면 '재원을 투입하는 주체' 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체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공공기관들의 지원사업 재원 형태는 다음과 같은 경우가 있습니다.  - 국비 단독 : 기업 소재지와 상관없이 지원합니다.  - 국비, 지방비 :...

식약처의 의료기기 관련 가이드라인 (Guidelines for Medical Devices in MFDS)



   의료기기 인허가 담당자의 업무는 험난 합니다. 알아야하고 찾아야 하는 문서들이 아주 많습니다. 또한 각종 법령, 규칙, 지침, 가이드라인의 '변경 가능성'에 항상 대비하고 있어야 합니다.

  의료기기를 제조, 수입 및 판매를 하기 위해서는 '의료기기 법(법률 제11998호, '13.08.06)'에 의거하여

  대통령령인 '의료기기법 시행령'(대통령령 제 25357호, '14.05.21.)
  총리령인    '의료기기법 시행규칙'(총리령 제 1081호, '14.05.09.)  과
  '식약처의 고시'를 준수 하여야 합니다.

  (한 번쯤 읽어보면 좋습니다. ^^)

  그리고 우리나라 식약처에서는 의료기기 허가, 심사 관련 규정에 대한 이해와 기술문서 작성을 위해 다양한 도움 자료들을 개발하여 배포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은

 '의료기기 허가,신고,심사 등에 관한 규정 해설서
  (2015.2,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의료기기심사부)

 240여종(14년 7월 기준)의 가이드라인, 지침, 해설서  (2017년 6월 현재 유효한 링크)
 <찾아 들어가는 방법: 식품의약품안전처 홈페이지->법령,자료->공무원지침서,민원인 안내서-->검색>


 그래서 '지침', '가이드라인', '해설서'로 분류 관리하던 것이 크게 "공무원 지침서"와 "민원인 안내서"의 2분류 체계로 간소화 되었습니다.

  각 문서에 대해 식약처에서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 공무원 지침서: 내부적으로 행정사무의 통일을 기하기 위해 반복적 행정사무의 세부기준이나 절차를 제시하는 것(기존의 지침)
- 민원인 안내서: 대내외적으로 법령 또는 고시ㆍ훈령ㆍ예규 등을 알기 쉽게 풀어서 설명(기존의 해설서)하거나 특정한 사안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입장을 기술(기존의 가이드라인에 해당)하는 것
(2017년 5월 중으로 이를 반영한 개정 안내서가 나온다고 합니다. 그런데... 아직...)

  의료기기와 관련한 "식약처의 규정"은 총 23개(14년 8월 기준)가 있으며 리스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적용대상 활용분야 고시명 고시일
1 임상시험
기관
기관관리 의료기기 임상시험기관 지정에 관한 규정 13.08.29.
2 검사기관 기관관리 의약품등, 화장품 및 의료기기 검사기관 지정 등에 관한 규정 14.02.12.
3 기술문서
심사기관
기관관리 의료기기 기술문서심사기관 지정에 관한 규정 13.08.29.
4 제조·수입 허가·심사 의료기기 허가·신고·심사 등에 관한 규정 14.05.30.
5 제조·수입 허가·심사 희소의료기기 지정에 관한 규정 14.02.12.
6 제조·수입 허가·심사 전자의료기기 기준규격 14.02.12.
7 제조·수입 허가·심사 의료기기의 전자파 안전에 관한 공통기준규격 14.02.12.
8 제조·수입 허가·심사 의료기기의 전기기계적 안전에 관한 공통기준규격 14.05.30.
9 제조·수입 허가·심사 의료기기의 안전성시험 기준 13.04.05.
10 제조·수입 허가·심사 의료기기의 생물학적 안전에 관한 공통기준규격 14.04.24.
11 제조·수입 허가·심사 의료기기 품목 및 품목별 등급에 관한 규정 14.04.08.
12 제조·수입 허가·심사 의료기기 재심사에 관한 규정 14.02.12.
13 제조·수입 허가·심사 의료기기 기준규격 14.02.12.
14 제조·수입 사전관리 의료기기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13.09.16.
15 임상시험 사전관리 의료기기 임상시험계획 승인에 관한 규정 13.08.29.
16 임상시험 사전관리 의료기기 임상시험 기본문서 관리에 관한 규정 13.08.29.
17 제조·수입 사후관리 추적관리대상 의료기기 지정에 관한 규정 14.02.21.
18 제조·수입 사후관리 의료기기 표시·가재 등에 관한 규정 13.04.05.
19 제조·수입 사후관리 의료기기 재평가에 관한 규정 14.02.12.
20 제조·수입 사후관리 의료기기 생산 및 수출·수입·수리실적 보고에 관한 규정 14.02.12.
21 제조·수입 사후관리 의료기기 부작용 등 안전성 정보 관리에 관한 규정 14.02.21.
22 제조·수입 사후관리 의료기기 광고사전심의 규정 14.02.12.
23 제조·수입 사후관리 복수 의무인증제품의 인증방법 및 국가통합인증마크 표시요령 13.04.05.

<출처: 알기 쉬운 의료기기 가이드라인 활용 핸드북, 2014. 8.>


   의료기기 허가,심사와 관련하여 발간된 지침, 가이드라인(현재는 공무원 지침서, 민원인 안내서로 변경, 17년 6월기준)은 크게 5종류로 나뉩니다.

- 기술문서 작성 등 가이드라인 (28개)
- 품목별 허가 및 기술문서 작성 가이드라인 (138개)
  •   기계기구분야(95종)
  •   의료용품분야(18종)
  •   치과재료분야(16종)
  •   체외진단시약분야(9종)

- 안정성 및 성능평가 가이드라인 (65개)
- 임상시험계획승인 가이드라인 (10개)
- 허가행정 관련 지침 (2개)


   위 자료는 "알기 쉬운 의료기기 가이드라인 활용 핸드북(2014.8)"의 내용과 현재 개정된 사안들을 복합적으로 정리(2017.6.)한 내용이기 때문에 이 글을 열람하는 시점에서는 변경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위 자료들은 다소 복잡한 내용인데, 활용의 의미를 생각해 본다면 다음과 같습니다.

   자료를 통해, '식약처 공무원이 일을 하는데 있어서 중점을 두는 절차와 방법, 입장'을 파악할 수 있고, '의료기기 인허가를 받기 위해 지켜야 할 절차와 문서를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 알 수 있습니다.

   문서가 너무 방대합니다. 한 번에 모든 내용을 알 수는 없지만, 무엇이 있는지 정도는 한 번 훑어 봐야... '일을 시작할 준비'가 되었다고 할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 문서들의 내용 그리고 식약처에서 이 문서들을 관리하는 방석에는 아주 큰 아쉬움이 있습니다. 한 눈에 문서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어렵고, 웹 사이트에서도 찾기가 어려운 편 입니다. 식약처의 문서관리 정책과 배포 능력이 좀 더 개선 되었으면 합니다.
(식약처에도 문헌관리학 전공자가 많이 필요할 텐데...)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한국의 의료기기 정의 및 품목군, 품목분류, 등급 (Medical Device Classification in Korea)

우리나라의 의료기기의 정의, 의료기기의 품목과 품목별 등급에 대한 이야기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의료기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정의, 품목군, 품목분류, 등급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합니다. [의료기기의 정의]   의료기기를 한 마디로 정의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 입니다. 종류와 쓰임새가 다양한 기기가 무척이나 많습니다. 또 한편으로는 기술의 융복합에 따라 새로운 의료기기가 출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는 ' 의료기기 법 '에서는 다음과 같이 의료기기를 정의 해 놓았습니다. (출처: 의료기기법 제2조 제1항)      ① 이 법에서 "의료기기"란 사람이나 동물에게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되는 기구·기계·장치·재료 또는 이와 유 사한 제품으로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제품을 말한다. 다만, 「약사법」에 따른 의약품과 의약외품 및 「장애인복지법」 제65조에 따른 장애인보조기구 중 의지(義肢)·보조기(補助器)는 제외한다. 1. 질병을 진단·치료·경감·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2. 상해(傷害) 또는 장애를 진단·치료·경감 또는 보정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3. 구조 또는 기능을 검사·대체 또는 변형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4. 임신을 조절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의료기기법은 2003년 5월 29일에 공포 되었고, 2004년 5월 30일부터 시행 되었습니다. '의료기기 법'이 제정되기 이전 '의료기기'는 '의약품과 의약외품등'과 같이 "약사법"에서 관리가 되었으나 관련 법령으로는 관리에 한계가 있어 '의료기기법'이 제정되었습니다. (이러한 과정은 미국이나 일본과도 유사합니다. 미국의 경우에는 1976년 5월 28일에 '의료기기 관련법'이 제정 되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2014년 1월 1일부터는 '체외진단기기 관련 시약'도 기존...

의공학과를 졸업하면 할 수 있는 일들 (Designing a Career in Biomedical Engineering)

출처: EMBS 발간, BME-Career-Guide-REVISED-koKR  (이 글은 '의공학'을 전공으로 학부만 졸업한 사람을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의공학 관련 석사,박사 소지자도 관심 가지셔도 좋을 듯 합니다.)  의공학을 한 사람만이 갈 수 있는 직장은 아닐 수도 있지만, 의공학을 하는데 어떠한 진로가 있는지 몰라서 고민하는 사람, 의공학 전공을 살려 취업 하는 것을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또한 이 분야가 의공학 한 사람들이 선택할 수 있는 선택지 중의 예시라고 생각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의공학부로 입학을 해서 '의용전자 공학사'로 학부를 마쳤습니다. 제가 공부를 시작 할 당시(2001년)만 하더라도 '첨단 의료기기 산업'이 앞으로의 미래에 유망하기 때문에 전망이 좋을 거라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아주 오래 전은 아니지만 2000년 초반만 하더라도 전국에 '의공학(Biomedical Engineering)관련 학과가 학부에 설치된 곳은 많지 않았습니다. 연세대, 건국대, 인제대, 경희대(동서의료공학과) 등 손에 꼽을 정도 였습니다. (지금처럼 ' 의공학 전공 대학생 연합 ' 이란 게 있었으면 많은 사람들이 진로, 취업 또는 학과 공부에 대해 혼란, 방황, 시행 착오를 좀 줄이는데에 도움이 되지 않았을까 싶기도 합니다.)   그리고 그 때는 지금과 같이 취업시장이 이렇게까지 절박(?)하지도 않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앞으로의 유망산업이고 사람도 많이 필요하다고 하니 졸업하면 어디든 가겠지?' 생각을 막연하게 했던 것 같습니다.   먼 미래일 것만 같던 졸업도 금세 다가오고 동기들 중 일부는 취업을 하고, 일부는 유학을 가고, 일부는 대학원을 진학을 하고 또 일부는 전공과는 전혀 관련이 없는 일을 하고 의공학 전공자들의 취업과 진로에는 뭐 그렇게 특별할 것 없던 것 같습니다.   그렇게 시간이 한 해...

의공학과 자격증 (Biomedical Engineering and License)

  의공학과를 가는 이유는 개인마다 다양하리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대학의 커리큘럼은 그 다양한 요구를 모두 충족하기가 어려운 것이 현실입니다.   대학이 전적으로 '직업인'을 양성하는 곳은 아닙니다. 그렇지만, 전공과 관련해 '자격증'을 획득할 수 있는 학과는 "교육과정"에서 그러한 부분을 일정 정도 커버해 주는 것이 학생 개인에게나 또는 학과에 여러모로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특히나 '보건의료 산업과 관련된 학과'는 대학 졸업장 외에도 취득할 수 있는 "자격증" 이 진로에 있어 "무기"라고 생각이 듭니다. 개인의 전문성을 증명하는데도 도움이 되고 자격증을 요구하는 곳에 취업도 할 수 있습니다. ("자격증 소지"가 전부가 아니라 그러한 "자격"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해야겠지만요.)   의공학을 전공한다면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자격증이 몇 개 있습니다. 특히 병원에 설치된 '의공학과'에 취업을 한다면 자격증 보유 유무가 큰 영향을 끼친다고 알고 있습니다.   [의료공학 전문가, 대한의용생체공학회]  비운의 자격증(?)입니다. 대한의용생체공학회가 발급하는 '민간자격증'이고 의료기기와 관련한 국가 자격증이 신설 된 후에는 명맥이 끊어진 것 같습니다.  저는 이 자격증 세대인데, 당시에 이 자격증이 있으면 병원 취업에 자격증이 없는 것 보다는 조금 더 유리했다고 알고 있습니다. 시험은 운전면허 시험같은 느낌(?)이 있습니다. 공부를 해도/안 해도 떨어진다는 소문...   그래도 이게 있으면 어디 쓸모가 있지 않을까 싶어서 따 놨는데, 아직까지 특별한 쓸모는 없었습니다. 병원에 취업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스스로 위로 합니다. 그래도 불만은 많습니다.   이 자격증을 가지고 있으면 후에 나온 '국가자격증'으로 자동 전환이 된다...